구제역의 부메랑은 인간의 탐욕에서

국제수역기구에 백신없는 청정국으로 지구촌에 널리 알려저있는 대한민국에서

무려 현재까지 닭, 오리, 소, 돼지 316만마리가 전국 4천여곳에서 살처분되었다.

이런 구제역 살처분 대란은 발생시점에 대한 역학적인 빠른 발병원인과 장소의 실기를 놓친데다가 축산농가의 환경적 열악성, 발병에따른 늑장신고등이 결국 엄청난화를 자초하고 만것이다. 정부는 청정국 지위를 다시 회복하겠다는 급한 마음으로 구제역 확산을 막기위해 집중적인 살처분으로 조치하여 전국을 구제역 무덤으로 만들어 버린것이다.

많은 축산학자들은 가축을 오로지 수일성만을 추구하는 집약축산 공장기업으로서 대량 양산해내는데 그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음은 다시한번 생각해 볼일이라 할것이다.

가축들은 너무나 비좁은 공간에 바람도 통하지 않고 햇볕도 통하지 않는 더럽고 불결한 우리에서 오로지 고열량의 사료만을 축산과학이라는 이름으로 강제주입식으로 먹도록하다가 최대로 살이찐 고접점에서 출하되는 것이다, 이는 가장 효율적이며 가장 경제적인 고기 생산을 위한 생명 경시적인 동물학대와 착취를 보는 현장이 아닐수 없다할것이다.

소비자들이 맛있다고 찾는 꽃등심과 삼겹살을 더얻기 위해서는 움직일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 고열량 사료를 집중적으로 먹어야 풍부한 지방덩어리를 많이 형성해서 해당육질이 만들어진다고 하니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고기를 창출하기위해 공장식 축산이 크게 번성한다는 것이다.

이런 현황에서 친환경 축산 여건을 조성하여 우수 품질- 높은 가격으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것은 매우 위험한 도전이 아닐수 없으므로 최소의 투자여건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창출해야하는 축산업자들에게는 가축을 매우 가장 사랑하는 그들이지만 역설적으로 동물학대라는

딜레마에 빠질수밖에 없다할것이다.

유럽의 한 농장에서 벌어지는 일인데, 송아지에서 나오는 소고기의 육질이 가장 부드럽고 입에서 녹는 향이 기막히고 그수요가 상시적으로 폭팔적이라서 전유럽 고급 체인레스토랑에 공급하는데, 수많은 송아지를 움직일수도 없는 좁은 공간에 가둬놓고 주어진 기간만을 기르면서 항상제주사와 특수 사료만을 먹이다가 일정 시점에 도달하면 어린 송아지를 가차없이 도살하는 모습을 보고는 인간의 끝없는 탐욕을 보고 전율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우리는 삼겹살을 먹든 비푸스텍을 먹든, 맛있는 치킨을 먹든 그맛에 취해서 그런 과정을 생각할 여유를 갖는다는것은 인간의 욕심된 마음으로는 거의 불가능한 일일것이다.

어쨌든 근본적으로 가축을 기르는 환경이 변하지 않으면 더큰 또다른 재앙은 불을 보듯 뻔한일이 아닐수 없다. 소는 원래 초식동물인데 소를 빨리 키운답시고 각종 동물뼈를 갈아 마든 사료를 먹이다보니 광우병이 생기고 이런 병든소를 먹은 인간도 인간광우병에 걸려 처참하게 죽는 모습을 TV를 통해 우리는 생생하게 보아왔다. 자연을 거스르는 행위가 얼마나 무서운 댓가를 치러야 되는지를 증명하는 사례가 아닐수 없다할것이다, 여기에다 동물을 대상으로한 각종 바이오 유전공학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를 도덕적으로 잘 행하지 않을때는 엄청난 부메랑을 맞을수 있다는 사실을 경각심을 가지고 진행해야할일이다.

사스도 막아낸 축산 청정국인 대한민국이 구제역으로 전국이 초토화되고 있다.

이를 향후 방지하기위해 농장별 상시모니터링과 방역시스템 구축, 항원검사센터 지방거점 설립, 가축질병과 방역등 제반관리에 대한 축산업자들의 정규 프로그램 교육제도, 축산특구제도를 통한 생태적 청정환경 산지축산제도도입등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최양부 전 농림해양수석비서관)

즉 감옥같은 축사에서 풀러나 햇볕도 받으면서 자유롭게 운동도하고 자연의 먹이를 먹으며 자라야 구제역같은 원천적인 전염병을 없앨수 있고 또한 이는 생태 자연순환적 유기농축산으로 나아가는 일이며 동물복지를 통하여 진정한 인간 건강을 도모할음은 자명한 일이 아닐수없다 할것이다.

방역현장에서 24시간 고생하다 과로로 순직한 공무원들, 자기 아들처럼 가축을 아끼다가 모조리 살처분되는 현장을 보고 공황상태에서 결국 자살한 축산업자들,,,,

지금 전국에 살처분한 4천여곳에 대하여 봄해빙기를 맞아 그 침출수 때문에 정부와 각자치단체등이 전전긍긍하는 부메랑으로 크게 고심하고 있다할것이다.

고기를 많이 먹고 자랐고 현재도 즐기는 한사람으로서 300만이 넘는 가축의 무차별적 살처분과 방역하다 숨진 순직한 공무원, 피눈물을 흘리다 자살한 축산업자등을 생각하며 나자신을 포함한 우리모두가, 인간의 거침없는 식욕적 탐욕에 대해 참회의 눈물을 흘리면서 친환경 유기농적인 청정 생태 축산업의 선순환을 찾아가는 큰 전환기가 되었음을 하는 간곡한 염원을 해보아야하는 시점이 아닐수 없다할것이다. .

김병민 칼럼리스트

Posted by 투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