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문화를 통한 도시경쟁력
문화예술 및 스포츠가가 곧 산업이자 고용이며 지방의 브랜드가 되고 또한 국가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살고있다. 세계에 이름을 크게 떨치는 도시를 보면 이를 알수있다할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곳은 프랑스로 연간 7680만명이 (2010년기준) 방문하고있다, 파리하면 에펠탑이 떠오르고 세계의 보물창고 루브르박물관, 그리고 각종 종 고급패션 브랜드(이브생로랑/피에르가르댕/크리스찬디올/코코샤넬/라코스테/루이뷔통)가 떠오르고 잘보존되고 가꾸어온 찬란한 중세유적들이 널려있다. 파리시내를 관통하는 세느강변의 유람선은 세계의 관광객들에게 너무나 멋진 파리의 문화적 낭만을 심어주고있다. 파리에서는 격조있는 문화예술를 보고 세계적인 명품브랜드를 쇼핑하며 깊이있는 파리의 프랑스 문화를 향유할수 있다할것이다, 특히 그들의 문화가 그대로 한땀한땀 녹아있으며 국제사회가 인증하는 상업적인 명
품은 자체적으로는 엄청난 부가가치적인 부를 만들어주고있고 세계인들에게는 명품을 소유한 기쁨으로 스스로 명품인간 등극이라는 즐거움을 동시에 주고있다할것이다. 20%의 제품생산가격에 브랜드가격 70%를 얹혀파는 대박산업이며 그자체가 황금을 캐는 산업이라할것이다. 그만큼 그 제품에는 인품과 혼이 살아있다할것이다
.
미국에는 5970만명의 관광객이 2010년에 방문하였는데
세계의 경제중심과 문화창출의 허브로 자타가 공인하는 뉴욕은 도시 자체가 폭팔적인 문화에너지로 작렬하는 곳이라할것이다.
브로드웨이 24번가에서 펼처지는 스테디셀러 뮤지컬은 오페라의유령, 레미제라블, 미스사이공, 케츠, 라이언킹, 맘마미아, 프로듀서스등인데 몇주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티켓표가 없을 정도로 지금도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할것이다. 미국이 가진 세계적인 의류브랜드로 리바이스, 캘빈크라인, 폴로,와 나이키가 있다, 나이키는 스포츠의류 브랜드로 세계 젊은이들로부터 열광적인 사랑을 받고있는 대표적인 글로벌브랜드이다.
미국 뉴욕에서 밤마다 벌어지는 다양한 수많은 패션쇼는 지구촌 의류시장을 선도하는 또다른 무역의 장이라 할것이다. 뉴욕의 양키즈 야구구단도 뉴욕역사와 함께하는 또하나의 자랑스런 도시의 브랜드 에너지가 아닐수 없다할것이다.
사막위에 인위적으로 세운 매혹적인 창업도시- 엔터테인먼트 시티로서 공연-컨벤션-도박으로 눈부시게 휘황찬란한 라스베가스 시티는 자연발생적인 역사적도시가 아니더라도 세계최강의 관광도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할것이다. LA에있는 허리우드, 디즈니, 유니버셜스튜디오,그리고 텍사스등 미국의 각주마다 있는 첨단시설의 놀이공원도 세계관광객이 열광하는 관광 (프랜차이즈)컨텐츠로 고용과 소득으로 전세계에 유치되어 각지역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할것이다.
미국은 해외 관광객수는 2위지만 관광수입은 1035억달러로 관광대국인 스페인과 프랑스 수입을 합친것보다 많으므로 역사문화유적보다 새로운 감동을 부여하는 영화 공연 첨단놀이공원 컨벤션산업등이 관광산업에있어 얼마나 큰 부가가치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볼수있는 대목이다.
중동의 해변가앞 척박한 사막에다 인간의 상상력의 한계를 실험하며 조성된 마술의 신생도시 두바이도 NOTAX 정책 (쇼핑)-빛의 속도로 허가를 내주는 기업유치전략으로 전개하고있는 무역-컨벤션-박람회-휴양-금융-엔터테인 사업, 그리고 오픈스카이 정책으로 전세계 100여개 항공사가 자국민을 두바이로 실어나르게하는 엄청난 도시경쟁력은 차도로에 깊숙이 숨겨저있던 중동을 자유화의 세계로 나가는 눈부신 새로운 교통의 십자로 길목이라 할것이다.
대단위 프로젝트가 아니더라도 이태리 베로나도시의 오페라축제, 독일 뮌헨의 옥토버(맥주)축제,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박물관, 중국 등봉시의 소림무예 도장들, 브라질 리오의 삼바축제, 함평의 나비축제, 일본 삿포로 얼음축제, 오스트리아 비엔나 음악도시 등도 지역의 내재적 잠재성을 세계화시킨 도시문화의 경쟁력이라 할것이다.
영국 런던은 세계금융의 중심지로 크게 성공했으나 전세계 금융위기로 어려움을 겪고있으나. 세계적인 스포츠브랜드 리복과 의류브랜드 버버리가 있고 박지성이 뛰고있는 축구 브랜드도시로 유명한 맨체스터가와 리버플등이 있다. 영국 각도시는 축구와 골프의 종가로서
제각기 그 멋진 품격을 지니고 있으며 해리포터를 쓴 조엔롤링은 영국 전체가 매직전설이라는 문학 컨텐츠 개발로 세계의 어린이들을 감격시키는 또하나의 기막힌 브랜드를 만들어내고 있다할것이다. 에딘버러의 공연축제도 공연인증 및 공연산업의 세계적허브로서 그 가치를 창출하고있다.
미국과의 FTA로 세계무역시장의 60%가 한국의 안방시장이 되었다,
경쟁력이 있어야 존재할수있는 시대에있어 생존하기위한 전략적 강구는
기업이든, 국가든, 도시든 새로운 문화융합적 신전략이 필요하다할것이다.
한국내 각도시들이 각기 특화된 산업 및 문화경쟁력을 도모하여 문화와 경제의 합성어인 컬처노믹스를 전개하여 글로벌 신시장을 개척해 나가야할 시점이라할것이다. 또한 복지가 화두인데 복지가 문화와 만나 융합되면 일자리창출은 물론 삶의질도 크게 개선됨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칼럼리스트 김병민
'기본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미디어시대 나꼼수열풍과 주류언론의 자성 (0) | 2011.12.11 |
---|---|
총선과 대선 그리고 국가적 소명감 (0) | 2011.12.04 |
몰락하는 자영업과 FTA시행에따른 국가비전 (0) | 2011.11.27 |
교육의 진정한 혁신은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0) | 2011.11.23 |
제주도 세계 7대 자연경관과 그 놀라운 비전 (0) | 2011.11.18 |